== reference ==
a. http://heewon0117.blog.me/120098180766
a. http://blog.naver.com/kaiser_80?Redirect=Log&logNo=80127753930
== NFS Server ==
a. configuration file
* /etc/default/nfs
- vi /etc/default/nfs 에서 NFS_SERVER의 min, max 버전과 DOMAIN 에 대한 configuration을 uncomment
안 해줘도 되는듯. 즉 default로 되어 있는듯
* /etc/dfs/dfstab
- share -F nfs -o rw=sms1:master:slave,root=sms1:master:slave -d export /export
- share -o rw /nfs-server/share 뭐 이딴식으로 공유할 디렉토리 생성!!
* /etc/netgroup
- Netgroup 지원. NFS용 서비스가 전체 네트워크의 명명된 호스트 그룹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netgroup을 지원합니다. netgroup은 사용자 및 그룹 로그인 제어와 원격 컴퓨터에 대한 셸 액세스를 간소화하고 시스템 관리자가 NFS 액세스 제어 목록을 보다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합니다.
a. nfs server start/stop
* svcadm restart network/nfs/server
* svcs -x network/nfs/server
== NFS Client ==
a. /etc/default/nfs
* NFS_CLIENT의 min, max 버전과 DOMAIN 에 대한 configuration을 uncomment
a. /etc/hosts
* /etc/hosts 에 NFS Server 목록 추가
a. /etc/vfstab
* test:/mnt/nfs_client - /mnt/nfs_server nfs 2 yes
a. nfs client start/stop
* svcadm restart network/nfs/client
== 관련 command ==
- 공유 된 리소스를 보여주는 명령 (/etc/dfs/dfstab 파일에 명시된 모든 디렉토리를 공유)
- 공유 목록 리스트 확인
a. share
- /etc/dfs/dfstab 에서 설정된 값 확인
a. unshare -F nfs /work : unshare 명령은 공유를 해제
a. unshareall : 모든 공유된 리소스를 해제
a. mount 해주기
- mount -F nfs server_ip://root/test /export/test
a. dmesg |grep -i nfs로 에러메시지 확인.
- NFS server initial call to server_ip failed: Permission denied